Weather (157) 썸네일형 리스트형 컨테이너선: Container vessel △ 컨테이너선 위에서 바라본 모습.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vessel)은, 컨테이너를 나르는 전용 화물선을 말한다. 화물을 들었다가(Lift On) 놓는(Lift Off) 선박인 LOLO선의 일종이기도 하며, 현대 물류에 있어 정점을 찍은 운송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컨테이너선을 통해 이동한 컨테이너는 항구에서 트럭으로 이동하는 시스템이기 때문. 또한, 항공기가 발달했다고는 하나 대량으로 물건을 수송할 수 있는 운송수단은 선박밖에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해운업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이더라도, 한진해운 사태로 인해 대한민국 국민들에게는 많이 알려진 선종이다. 컨테이너선의 규모는, TEU 또는 FEU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규모를 정한다. -TEU(Twenty Feet Equivalent Unit.. 구름:Cloud 구름이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먼지 등 여러 요소의 물질과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어 떠있는 것을 말한다. 안개와 사실상 성분은 동일하다. 구분하자면 구름: 공기 중의 수증기가 먼지 등 여러 요소의 물질과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어 지표면과 떨어져 있는 것안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먼지 등 여러 요소의 물질과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어 지표면과 닿아 있는 것 (따라서, 산중턱에 걸려 있는 구름은 해당 산에 올라간 사람에겐 안개라고 할 수 있다) 구름에 대해, 생성 원인, 종류별로 언급하도록 하겠다. 생성 원인 1. 옛날(18세기 즈음)에는 구름 생성 원인을 기포이론으로 설명하였다. 기포이론이란, 깨끗한 기포가 물을 담은 채 올라가면 구름이 되고, 이 구름을 구성하는 기포가 태양열을 받은 후 터지면(...) 그 안의.. 활주로가시거리:RVR, Runway Visual Range 활주로가시거리(RVR, Runway Visual Range)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항공기가 접지하는 지점에서 조종사의 평균 눈높이(지상 약 5m 위)에서 조종사의 평균 눈높이(지상 약 5m 위)에서 이륙방향 또는 착륙방향을 봤을 때 활주로 또는 활주로를 나타내는 특정등화(활주로등, 또는 활주로 중심등) 또는 표식을 확인할 수 있는 최대 거리. 즉, 활주로 시정이다. METAR에 들어가는 요소이기도 하다. ※목시관측, 계기관측방법이 있으나 대부분의 공항은 현대화되어 있기에, 계기관측을 실시한다. (※현대화되지 않았던 옛날의 경우, 사람이 활주로의 한쪽에 있는 관제탑에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했었다.계기관측이 불가할 경우 지금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다.) ※METAR는 기존에 이렇게 블로그에 정.. 블랙아이스: Black Ice 블랙아이스(Black Ice)의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도로 위에 있는 얼음을 뜻한다. 이 얼음은 눈이 녹아서 얼음이 되었거나, 또는 많은 비가 왔다가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얼음이 되는 경우도 있다. 블랙아이스의 무서운 점은, 투명해서 도로가 얼었는지 어떤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도로에서 미끄러셔 사고가 발생하는 건이 빈번하다. 클리어아이스(Clear Ice)라고도 부른다. 2. 또한, 연료가 도로에 유출되면서 도로가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도 블랙아이스라고 부르긴 한다. 블랙아이스의 생성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눈이 내려서 도로에 쌓인 조건에서)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 눈이 녹았다가, 다시 기온이 내려가는 경우2. 영상일 때 비가 내렸다가 영하로 떨어지면서 도로 위 빗방울이 .. 낙뢰: Lightning △ 호주 브리즈번에서 내려진 33개의 낙뢰를 합성한 사진. 2014년 12월 29일, 호주 퀸즐랜드 주 남동부 지역, 브리즈번에서 약 10만 7천여회 이상의 번개가 내리쳤다고 한다.(호주 국영전력청인 에너젝스트 발표) 벼락은 우리 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기상요소는 아니다.따라서, 우리는 이 요소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고 있지 않다. △ 생활에서 마주할 수 있는 벼락 ^^마른 하늘에 날벼락 벼락으로 인한 사고는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었다. ....-2017년 2월 20일, 청주 낙뢰 발생으로 교통진호제어기에 전류 흐름으로 인해 CCTV 중단 사고 발생-2017년 2월 10일, 아시아나항공 항공기가 제주공항에서 이륙직전 낙뢰-2016년 8월, 전국적으로 호우 및 낙뢰 발생. 특히 부산 모 교회에 낙뢰가.. 눈사태: Avalanche △ 눈 쌓인 산에서 실제로 눈사태가 일어나고 있는 모습 어제, 2017년 3월 16일, 오스트리아 티롤 알프스산맥에서 눈사태가 발생했다.이로 인해 4명 사망(1명은 시신을 찾지 못한 상황)했다고 하며, 올해 오스트리아에서만 14명의 사람들이 눈사태로 인해 사망했다고 한다. △ 행방불명된 사람을 찾고 있는 수색대의 모습(출처: 연합뉴스)2017년 3월 16일, 어제 모습이다. 눈사태(Avalanche)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눈이 덮여있는 산에서 갑자기 눈이 쏟아지는 것. 눈만 아니라 흙, 암석 등도 함께 떠밀려오는 경우가 많다. 주로 만년설이 있는 산악지형에서 발생하며,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한다. 다만, 소리로 인한 눈사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한다. 눈사태는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발생된다. 산 .. 결빙:ICING on the Rail △ 영화 '설국열차'에서 궂은 날씨를 헤치며 운행하고 있는 열차의 모습. 기존에 항공기 운항에 있어서의 결빙/착빙을 블로그에 올린 적이 있다.http://gomdoripoob.tistory.com/3 윗 블로그를 참조 바란다. 영화 '설국열차'에서는 최첨단 장비를 갖춘 열차가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운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로가 얼어도, 시정이 악화되어도, 일단 앞으로 달렸던 열차. 하지만 실제 열차는 그렇게 튼튼하지 않다. 선로가 얼어있어도, 선로 아래 자갈이 유실되어도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는 교통수단이 열차이다. 비행기와 달리 앞길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 멈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상요소로 인해서 운항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은 항공과 동일하다. 결빙/착빙(ICING)이란, 공기중에 노출된 열차.. 태풍: Typhoon △Windyty에서 확인한 태풍(Typhoon). 2015년 태풍 고니, 그리고 또다른 태풍의 모습. △ 이 영화 태풍이 아니다.(이정재에 대해 호감이 있는 분은 이 영화를 보시지 않기를 권한다.) 이 영화의 제목을 '태풍'이라고 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대한민국에 적개심을 품은 장동건이, 태풍에 방사능을 투하하여대한민국에 테러를 일으키려고 한다는 이유로 '태풍'이라고 붙은 듯 하다. (영화는 망했다. 재미없었고, 이정재의 딱딱한 연기, 그리고 영화 마지막부의'수개월후'라는 자막은 영화관에 있던 관객 모두를 웃게 만들었다. 정말,진심으로 이정재에 대해 호감이 있으신 분은 이 영화를 보시지 말기를.) △ 영화상, 대한민국 국정원 및 해군에서 태풍을 지켜보고 있는 모습.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직접적, 간접적으.. 이전 1 ··· 15 16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