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로 레바논을 공격하면서 아랍 국가들이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이 공격은 레바논 남부와 동부에 걸쳐 진행됐으며, 수백 명의 민간인 피해가 발생해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 이스라엘 공격에 강력한 반응
23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공식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레바논에서의 폭력 확대가 이 지역의 안보와 안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튀르키예 외교부는 이스라엘의 행동을 강력히 규탄하며 "이스라엘을 무조건 지지하는 국가들이 네타냐후 총리가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피를 흘리게 돕고 있다"고 비판했다. 튀르키예는 이스라엘의 공격이 중동 전역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엔 임시군과 이라크의 반응
레바논에 주둔한 유엔 임시군도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공격이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강력했다고 발표했다. 유엔 임시군은 "민간인 안전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이스라엘의 공격이 확대될 경우 "광범위한 파괴와 더 넓은 지역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민간인에 대한 공격은 국제법 위반이며 전쟁 범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라크는 이번 주 유엔총회 고위급 주간을 맞아 뉴욕에서 아랍 지도자 긴급회의를 소집할 것을 제안했다. 이라크 총리 모하마드 시아 알수다니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략이 평화로운 국민들에게 미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긴급 회의를 소집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레바논 피해 상황: 수백 명의 사망자 발생
이스라엘의 이번 공습은 레바논 남부와 동부 전역에서 진행됐으며, 레바논 보건 당국은 최소 492명이 사망하고 1,645명이 부상당했다고 발표했다. 사망자 중에는 어린이와 여성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충격을 더했다. 이번 공격은 사망자 수 기준으로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인명 피해를 기록했다.
국제적 반응과 전망
이스라엘의 이번 공습에 대한 아랍 국가들의 반발은 중동 전역의 정치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의 행동이 국제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주목되고 있으며, 아랍 국가들은 국제 여론을 동원해 이스라엘의 공격을 멈추기 위한 공동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레바논 사이의 갈등이 다시금 전면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며, 이에 따른 국제사회의 개입 여부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