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쓰레기풍선, 군의 단호한 경고
우리 군이 23일 북한의 쓰레기풍선으로 인한 국민 안전 위협에 대해 단호한 군사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지난 5월 28일부터 23일 현재까지 총 22차례에 걸쳐 5500여 개의 쓰레기풍선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치졸한 행위"에 대한 비판
합참은 "국제적으로도 망신스럽고 치졸한 행위"라며, 북한의 이러한 행동이 국민에게 불편과 불안감을 초래하고 남남갈등을 유발하려는 저급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공중 격추에 대한 신중한 접근
북한의 쓰레기풍선 살포가 장기화되면서 군 당국 내에서는 공중 격추 등 물리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합참은 "공중 격추 시 예상치 못한 위해물질이 확산될 경우 국민의 안전에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실시간 감시와 안전 대책
합참은 북한군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풍선이 날아오는 원점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풍선이 떨어지면 즉시 안전 대책을 강구하고 수거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우리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판단한 조치"라고 강조하며 국민의 믿음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근본적인 대책과 경고
군 당국은 북한의 쓰레기풍선이 국민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나, "북한의 쓰레기풍선을 근절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적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합참은 "북한의 쓰레기풍선으로 인해 심각한 위해가 발생할 경우 단호한 군사적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실장은 군사적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지속적인 경계와 피해 상황
군 당국은 북한이 22일 밤부터 23일 아침까지 약 120개의 쓰레기풍선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현재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서 30여 개의 낙하물이 발견되었다. 확인된 풍선의 내용물은 종이류, 비닐, 플라스틱병 등 생활 쓰레기로, 분석 결과 안전에 해가 되는 물질은 없었다고 전했다.
북한의 재정적 부담
북한의 쓰레기풍선 살포는 올해 들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군 관계자는 이를 통해 북한이 약 5억5000만원의 비용을 들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금액으로는 쌀 약 970여 톤을 구매할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우리 군은 북한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계속해서 경계하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댓글